제주도 방언 ‘폭싹 속았수다’ 뜻 왜 긍정적 의미일까?

폭삭 속았수다“라는 말을 처음 들으면 ‘완전히 속았다’는 뜻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사실 이 제주도 사투리는 따뜻한 응원의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 독특한 표현의 의미와 뜻을 알아보겠습니다.


왜 ‘속았다’가 칭찬이 될까? (제주어의 독특한 표현 방식)

제주도에서 “폭삭 속았수다”는 ‘정말 수고했어요’라는 격려의 말입니다.

  • 폭삭 = ‘아주’, ‘정말’, ‘완전히’ (강조 표현)
  • 속앗수다 = ‘수고하셨습니다’ (존댓말)

여기서 재미있는 점은 표준어의 ‘속다'(거짓말에 넘어가다)와 전혀 다른 의미라는 겁니다. 예를 들어 제주 어르신들이 “오늘 일 폭삭 속앗제?”라고 말하면 “오늘 정말 수고했어요”라는 칭찬이 됩니다. 마치 영어의 ‘Break a leg'(행운을 빌어)가 직역하면 이상해지지만 실제로는 응원하는 말인 것과 비슷하죠.

단어별 해석

  • 폭싹 = 매우, 정말, 엄청 (예: “폭싹 맛있수다” → “정말 맛있어요”)
  • 속앗수다 = 수고하셨습니다 (속다=수고하다 + 앗(과거형) + 수다(존댓말))

실생활 예시:

  • 학교 선생님이 퇴근할 때 “폭싹 속앗수다!” → “오늘 정말 수고 많으셨습니다!”
  • 친구가 시험 공부 도와줬을 때 “고맙수다. 폭싹 속앗저!” → “고마워. 정말 수고했어!”

※ 참고: 제주어 표기법에 따르면 ‘폭싹’보다 ‘폭삭’이 맞지만, 드라마 제목은 대중성을 위해 익숙한 표기를 선택한 것으로 보입니다.

넷플릭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 속 제주어 이야기

실제 대사 분석

“갈꼬, 갈꼬!”(같이 가자) : 제주 해녀들이 물질하러 갈 때 주로 사용하던 말

귤밭에서 쓰는 제주어 표현

  • “감질나게 맛있수다” = 입맛 돋우는 맛
  • “오메 감탄이지!” = 오 마이 갓!(감탄사)

드라마에 나오는 다른 제주 말들

알아두면 재밌는 표현

제주어사용 예시
요망지다야무지다“애순이는 참 요망진 계집애라우”
물꾸럭문어“물꾸럭 잡으러 갔다 오쿠다”
보말소라“보말 국 끓여 먹을까?”
미캉“올해 미캉은 달기만 하구먼”

대화 속 자주 나오는 말

  • “뭐랜고람시니?” = “무슨 말씀이신지?”
  • “제라지게” = “엄청” (“비 제라지게 오네이” → “비 엄청 오네”)
  • “하영” = “많이” (“하영 먹수다!” → “많이 드세요!”)

‘숨병’이 뭐예요?

드라마에서 애순 엄마가 걸린 병인 ‘숨병’은 실제 제주 해녀들이 주로 앓던 질병입니다.

숨병의 정체

  • 원인: 깊은 바다에서 장시간 잠수하며 생기는 압력 차
  • 증상: 어지럼증, 귀 통증, 심하면 실명까지
  • 현대식 명칭: 잠수병(減壓症)

1950년대 제주도에서는 해녀 10명 중 3명이 이 병으로 고생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해외 “폭싹 속았수다” 제목 어떻게 번역 했을까?

드라마가 해외에 수출되면서 각국 언어로 재탄생한 제목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국가번역 제목문화적 의미
미국“When Life Gives You Tangerines”레몬 대신 제주 귤 사용
일본“人生に橘があふれる時”귤을 일본 왕실 문장인 ‘橘’로 표현
프랑스“Poésie des îles”(섬의 시)제주의 낭만성 강조

영어 제목은 미국 속담 “When life gives you lemons…”을 패러디했는데, 제주도의 상징인 귤을 사용해 현지화했습니다. 프랑스판은 제주도를 ‘시적인 섬’으로 해석한 점이 인상적입니다.

※ 언어학자들은 “문화 차이가 큰 말은 직역보다 창의적 번역이 효과적”이라고 설명합니다.


일상에서 만나는 제주어

제주 여행시 바로 활용 가능한 필수 표현 3가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인사할 때
    • “혼저옵서예” = 어서 오세요 (가게 주인에게 말할 때)
  2. 칭찬할 때
    • “당신 참 곱수다” = 정말 예쁘네요
  3. 감사 표현
    • “고맙수다” = 감사합니다

제주 방언은 표면적으로 보이는 뜻과 실제 의미가 전혀 달라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 재미있는 언어적 경험을 선사합니다. 

※ 주의사항: “속았수다”는 윗사람에게는 “속앗수다”로, 친구에게는 “속앗제!”로 말해야 합니다. 제주어에도 높임법이 존재합니다.